연결 가능 링크

미-한-몽골 핵심 광물 3자 협의체 출범 


호세 페르난데즈 미 국무부 경제차관, 이도훈 한국 외교부 2차관, 잠발 간바타르 몽골 광업중공업부 장관 등이 27일 울란바토르에서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면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 외교부 제공)
호세 페르난데즈 미 국무부 경제차관, 이도훈 한국 외교부 2차관, 잠발 간바타르 몽골 광업중공업부 장관 등이 27일 울란바토르에서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면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 외교부 제공)

미국과 한국, 몽골 3개국이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제1차 핵심 광물회의를 열었습니다.

국무부는 27일 호세 페르난데즈 미 국무부 경제차관과 이도훈 한국 외교부 제2차관, 그리고 잠발 간바타르 몽골 광업중공업부 장관이 참석해 제1차 핵심광물 3자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습니다.

3국은 이번 회의에서 세계 핵심 광물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몽골의 잠재적 역할과 그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광물 탐사 정보 공유 등 3국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민간 관계자도 참석해 몽골 광물 자원의 현황과 잠재력, 세계 상품 시장 동향과 투자 관련 정보를 교환했습니다.

국무부는 청정에너지 및 기타 기술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에 대한 수요가 향후 수십 년 동안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이번 미한몽 3개국 협의는 보다 안전하고 탄력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미국의 외교적 노력을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이 주요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는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미국은 각국이 지질학적 자원의 완전한 경제 개발 혜택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도 보도자료를 내고 미한몽 3개국이 현재 몽골의 주요 수출품인 석탄과 구리 외에 희토류, 리튬 등 배터리 소재 핵심광물의 개발 가능성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