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에서는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 3국이 최근 잇따랐던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또 제3위원회에서는 15년 연속 북한 인권결의안이 통과됐는데, 61개 국가가 참여한 공동제안에 한국은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오택성 기자입니다.
영국과 프랑스, 독일 세 나라는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비공개회의 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3국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이 지난 5월부터 12차례 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며, 북한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 3국의 북한 규탄 공동성명은 지난 5월 이후 4번째입니다.
니콜라 드 리비에르 / 유엔주재 프랑스 대사(지난달 8일)
“우리는 북한의 이같은 도발 행위를 거듭 규탄합니다. 이는 역내 안보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로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입니다.”
유엔주재 북한대표부는 유럽 3국의 성명은 미국이 선동해 이뤄졌다고 주장하며 14일 반발 성명을 냈습니다.
한국의 최첨단 무기 도입과 미한 연합 군사훈련에 의한 비핵화 협상 교착의 책임을 북한에 전가하기 위해 북한의 방어적 군사 활동인 미사일 발사를 미국이 안보리 회의에서 문제 삼았다는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는 북한인권 결의안이 표결 없이 합의 방식으로 채택됐습니다.
지난 2005년부터 15년 연속 채택된 것으로 이번 결의안에도 북한의 인권 유린 상황 개선 촉구와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 권고 등이 포함됐습니다.
코트니 넴로프 / 미국대표부 경제사회이사회 부대표
“인권 침해와 유린은 반드시 중단돼야 하고, 인권 유린 가해자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북한 측은 또다시 반발하며 결의안 채택을 전면 거부했습니다.
김성 / 유엔주재 북한대사
“이 결의안은 진정한 인권의 보호 증진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인권의 정치화와 선별성, 이중 기준의 전형적인 표현입니다.”
이번 북한인권 결의안은 유럽연합이 작성했고,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61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는데, 한국은 불참했습니다.
제3위원회에서 채택된 이번 북한인권결의안은 다음 달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입니다.
VOA 뉴스 오택성입니다.
영국과 프랑스, 독일 세 나라는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비공개회의 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3국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이 지난 5월부터 12차례 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며, 북한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 3국의 북한 규탄 공동성명은 지난 5월 이후 4번째입니다.
니콜라 드 리비에르 / 유엔주재 프랑스 대사(지난달 8일)
“우리는 북한의 이같은 도발 행위를 거듭 규탄합니다. 이는 역내 안보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로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입니다.”
유엔주재 북한대표부는 유럽 3국의 성명은 미국이 선동해 이뤄졌다고 주장하며 14일 반발 성명을 냈습니다.
한국의 최첨단 무기 도입과 미한 연합 군사훈련에 의한 비핵화 협상 교착의 책임을 북한에 전가하기 위해 북한의 방어적 군사 활동인 미사일 발사를 미국이 안보리 회의에서 문제 삼았다는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는 북한인권 결의안이 표결 없이 합의 방식으로 채택됐습니다.
지난 2005년부터 15년 연속 채택된 것으로 이번 결의안에도 북한의 인권 유린 상황 개선 촉구와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 권고 등이 포함됐습니다.
코트니 넴로프 / 미국대표부 경제사회이사회 부대표
“인권 침해와 유린은 반드시 중단돼야 하고, 인권 유린 가해자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북한 측은 또다시 반발하며 결의안 채택을 전면 거부했습니다.
김성 / 유엔주재 북한대사
“이 결의안은 진정한 인권의 보호 증진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인권의 정치화와 선별성, 이중 기준의 전형적인 표현입니다.”
이번 북한인권 결의안은 유럽연합이 작성했고,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61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는데, 한국은 불참했습니다.
제3위원회에서 채택된 이번 북한인권결의안은 다음 달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입니다.
VOA 뉴스 오택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