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1천만 조회수 넘긴 유튜브 ‘북한’ 동영상 10개


지난 2017년 북한 군인 오청성 씨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군사분계선을 넘어 한국으로 넘어오는 과정을 담은 유튜브 영상.
지난 2017년 북한 군인 오청성 씨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군사분계선을 넘어 한국으로 넘어오는 과정을 담은 유튜브 영상.

전 세계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에 북한과 관련해 조회수 1천 만을 넘긴 동영상이 10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 네티즌들은 북한의 어떤 모습에 관심을 보였는지,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유튜브 동영상 녹취음]

‘북한, 카메라에 포착된 가장 대담한 탈출’이라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에는 이처럼 웅장한 배경음악이 깔려 있습니다.

이 동영상은 2017년 당시 북한 군인 오청성 씨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군사분계선을 넘어 한국으로 넘어오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오 씨가 차량을 타고 판문점에 접근해 한국 쪽으로 달리고, 이후 북한 군의 총격을 받는 긴박했던 상황이 8분에 달하는 이 영상을 통해 확인됩니다.

당시 유엔군사령부는 오 씨의 망명 상황이 담긴 CCTV 영상을 공개했는데, 미국의 군사전문 동영상 공유 업체가 이를 음악과 자막 등과 함께 편집해 유튜브에 올린 겁니다.

미국의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에는 이처럼 ‘북한(North Korea)’ 관련 동영상이 수 만여 건 게시돼 있고, 이 중 1천만 조회수를 넘긴 동영상은 오 씨의 탈출 영상을 포함해 10개에 달합니다.

오 씨의 탈출 영상은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1천939만여 회의 시청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9건은 북한 내부를 보여주거나, 북한의 실체를 알려주는 해설 형식으로 북한의 공개되지 않은 모습을 담아냈습니다.

‘은둔의 나라’ 북한에 대한 전 세계 네티즌들의 호기심과 관심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두 번째로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은 평양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인 자카 파커 씨가 촬영한 것으로, 1천732만명이 시청했습니다.

7분44초 길이의 이 영상은 2016년 파커 씨가 평양의 길거리 음식을 사먹는 모습을 담고 있는데, 바로 옆에서 음식을 먹고 있는 북한 병사가 파커 씨 일행을 힐끗힐끗 쳐다보는 장면이 흥미롭습니다.

[유튜브 동영상 녹취음] “이거 김밥? 고기 없이? (고기 없습니다) 계란? (계란) 얼마 하나요? (2천500원). 두 개.”

이 영상에서 파커 씨는 노점상에게 음식 값을 지불한 뒤 바로 옆 또 다른 길거리 음식점에서 계란 요리를 사먹습니다.

또 ‘존 올리버’라는 코미디언이 자신의 이름을 건 미국의 한 시사프로그램에서 북한 문제를 주제로 해설하는 영상과, 북한과 남한의 모습을 비교한 유튜버의 영상도 각각 1천400만 번 이상의 높은 시청횟수를 기록했습니다.

북한의 열병식을 편집한 동영상 3개도 상위 10개 목록에 이름을 올렸는데, 한 영상은 1970년대 가수 ‘비지스’의 ‘스테잉 얼라이브’라는 노래가 배경음악으로 입혀져 많은 네티즌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유튜브 동영상 녹취음]

그밖에 1천 만 조회수는 아직 달성하지 못했지만, 탈북자들이 국제 인권 행사에서 증언하는 영상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사망 당시 평양 주민들이 애곡하는 장면을 촬영한 영상 등도 10위권 밖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었습니다.

영상을 시청한 네티즌들은 댓글, 즉 의견을 다는 공간을 통해서도 이 동영상들에 대한 소감을 남겼습니다.

특히 가장 많은 시청 횟수를 기록한 오 씨의 탈북 영상의 경우 2만 개가 넘는 댓글이 달리는 등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습니다.

한 네티즌은 ‘한국을 향해 (북한이) 총기를 발사하면서 자동으로 전쟁이 시작될 수 있었다’고 주장했고, 북한에 산다는 건 지옥에 사는 것과 같아 상상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유튜브는 미국에서 운영되는 사설 동영상 서비스로, 중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전 세계 네티즌들의 접속에 제한이 없습니다.

북한도 ‘우리민족끼리’를 비롯한 일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대외 선전의 방법으로 유튜브를 활용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민족끼리’를 비롯한 여러 채널들이 강제폐쇄돼 지금은 ‘조선의 오늘’ 등 일부 채널만이 남아 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