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정착 탈북민 70%, 북한서 영화·드라마로 한국말 접해"


한국 정부의 탈북민 정착지원 센터인 하나원에서 탈북 여성들이 강의를 듣기위해 이동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탈북민 정착지원 센터인 하나원에서 탈북 여성들이 강의를 듣기위해 이동하고 있다.

탈북민들은 한국에 입국하기 전 북한에서 주로 영화나 드라마 등을 통해 한국 말씨를 접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에 입국한 뒤 한국 말씨에 대해 친근하다고 여긴다는 응답이 상당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에 정착한 탈북민 10명 중 7명은 북한에 있을 때 한국말을 접해본 적이 있으며 주로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한국말을 인지하게 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북한에서 한국말을 인지하게 되는 주요 경로로는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서라는 응답이 62%로 가장 높았습니다.

TV와 라디오, 신문, 잡지 그리고 한국산 상품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 같은 조사는 한국 국립국어원이 최근 발표한 ‘2016 남북 언어의식 조사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탈북민 10명 중 7명은 북한에 있을 때 한국말과 북한말이 비슷할 것으로 생각했으며 한국에 온 뒤 한국말이 친근해졌다는 답변 역시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온 탈북민 상당수는 공공기관이나 병원, 은행 등에서 쓰는 용어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 이유로는 외래어와 한자 등 어려운 말이 많다는 응답이 50%로 가장 높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48%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탈북민들은 같은 이유로 학교나 직장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화할 때도 어려움을 겪었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외래어나 외국어 사용과 줄여 쓰는 말 때문이라는 응답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아울러 탈북민 10명 중 4명은 북한 말씨 때문에 차별이나 무시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또 탈북민 10명 중 3명은 한국말에 충분히 익숙해지려면 4~5년 정도가, 10명 중 2명은 10년 이상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국립국어원 이대성 연구관입니다.

[녹취: 이대성 연구관 / 한국 국립국어원] “언어라는 것이 경제적인 부분이나 정치, 행정적인 부분보다는 절실함은 덜한 면이 있는데 한편 정말 만족스러운 정착, 또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데서는 언어가 해결되지 않으면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북민들 대다수는 한국생활에 만족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생활에 얼마나 만족하냐는 질문에 탈북민 10명 중 8명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100명 중 2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의 통일관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응답자의 83%가 가급적 빨리 남북한 통일을 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14%로 나타났습니다.

통일 시기와 관련해서는 5년 이내 통일이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이 35%로 가장 많았으며 6~10년이라는 응답이 30%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탈북민들은 통일 후 남북한 주민 간 통합이 가장 어렵지 않은 분야로 ‘언어’를 꼽았습니다.

문화, 경제가 그 뒤를 이었으며 가장 통합이 어려운 분야로는 ‘정치’라고 응답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탈북민들은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줄이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이 설문조사는 지난해 8~9월 사이 탈북민 30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남북 언어에 관한 탈북민 의식을 조사해 남북 언어통합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시행됐다고 국립국어원 측은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