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유엔 식량농업기구, 조류독감 경보 발령


북한 황해북도 사리원의 양계장에서 한 여성이 조류 독감 예방을 위한 살균제를 살포하고 있다. (자료사진)
북한 황해북도 사리원의 양계장에서 한 여성이 조류 독감 예방을 위한 살균제를 살포하고 있다. (자료사진)
북반구에서 여름이 지나고 가을로 접어들면서 조류독감이 다시 유행할 수 있다고, 유엔이 경고했습니다. 올해 4월에 조류독감이 발생한 북한에서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연철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 FAO가 16일, 조류독감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여름이 끝나고 독감이 유행하는 계절이 돌아오면서 조류독감의 위험이 더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안 더글라스 FAO 동물보건 담당관은 지금이 경보를 발령할 적기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더글라스 FAO 동물보건담당관] "Generally speaking……"

일반적으로 여름이 끝나고 날씨가 쌀쌀해지기 시작하면 조류독감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것입니다.

FAO는 국제사회가 기존의 H5N1형 조류독감은 물론 올해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H7N9형 조류독감의 징후들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류독감은 주로 닭과 오리, 칠면조 등 가금류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입니다. 아직까지는 가금류를 통해서만 감염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지만 인간 대 인간 감염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다시 이안 더글라스 FAO 동물보건 담당관의 말입니다.

[녹취: 발라 세계동물고건기구 사무총장] "Avian Influenza viruses… "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적어도 짧은 기간 동안이나마 조류나 인간의 몸밖으로 나와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조류독감 환자는 고열과 기침, 전신근육통 등 일반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고, 심해지면 폐렴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 2003년과 2011년 사이에 H5N1 바이러스로 인해 3백 명 넘게 목숨을 잃었고, 닭과 오리 등 가금류 4억 마리가 살처분되면서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북한에서는 그동안 두 차례 조류독감이 발병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먼저 지난 2005년 2월 평양을 비롯해 북한 내 주요 3개 농장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해 닭 21만여 마리가 살처분됐습니다.

또 올해 4월19일 평양의 두단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H5N1형 조류독감이 발생해 오리 4만4천 마리가 죽고 12만2천 마리가 살처분됐습니다. 당시 북한 관영 `조선중앙TV' 보도입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인터뷰] “현재 두단오리공장과 그 주변지역을 엄격히 차단하고 소독과 예방접종 대책을 강하게 세우는 것과 함께 전국적으로 1천360여 개의 수의역학감시 초소들을 내오고 2천7백여 명의 감시인원들을 배치하여 가금류와 이동조류들에 대한 역학감시를 철저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FAO는 조류독감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감시가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가금류 사이에서 돌아다니기 때문에 발병국가 뿐아니라 이웃나라들, 그리고 무역거래가 많은 지역에서도 통제 노력이 계속되고 강화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FAO는 가금류 생산과 판매와 관련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각국이 장기적으로 투자를 늘릴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밖에 일반인들은 사육하고 있는 닭과 가축을 사람의 생활공간이나 야생조류로부터 분리하고, 갑자기 죽거나 병에 걸린 닭 등이 있으면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밝혔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