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요 뉴스를 간추려 드리는 ‘한반도 뉴스 브리핑’ 입니다. 이연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첫 소식은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한국 내 탈북자단체들이 오늘(22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20만 장을 살포할 계획이었는데요, 한국 정부의 저지로 무산됐습니다. 한국 경찰은 전단 살포를 불허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탈북자 단체들의 임진각 진입을 전면 통제했습니다. 탈북자단체 회원들은 집회 신고까지 마쳤는데도 정부가 이를 막는 것은 옳지 않다며 거세게 항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탈북자단체와 경찰 간에 가벼운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결국, 탈북자단체들은 임진각에서의 전단 살포가 무산된 뒤 강화도로 이동해 대북 전단 12만 장을 날려보냈습니다.
진행자) 한국 정부는 그 동안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적극적으로 저지하지 않았었는데요, 이번에는 다른 조치를 취했네요?
기자) 네, 북한의 위협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앞서 북한 군 서부전선사령부는 지난 19일 공개 통고문에서 전단 살포 움직임이 포착되는 즉시 무자비한 군사적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현재 북한 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말하면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 정부도 전단 살포를 둘러싼 남북한 간 긴장 상태를 주시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중국 정부는 “한반도에서의 무력 충돌은 물론 정세를 긴장시키는 어떤 행동에도 결연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홍레이 대변인은 오늘 (22일)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내 탈북자 단체들의 전단 살포 계획으로 남북한 당국 간에 긴장이 고조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변했는데요, “중국은 남북한이 협상으로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며, “냉정과 절제를 유지하고 과격한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지켜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계속해서 다음 소식 전해 주시죠?
기자) 네, 서울에서 오늘(22일) 한국과 미국 독일 등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저명한 북한학자들이 모인 가운데 ‘통일과 한국경제’라는 주제의 국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류우익 한국 통일부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제사회의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한반도 분단 유지가 자국에 이익이 된다는 주변국들의 생각은 바꿔야 할 낡은 사고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이번 국제토론회에서 주로 어떤 문제들이 논의됐는지 간단하게 소개해 주시죠?
기자) 발제자로 나선 미국의 브래드 뱁슨 존스홉킨스대학 북한경제포럼 의장은 한반도의 미래는 주변국이 아닌 남북한이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북한의 중국에 대한 의존이 지나치게 심해지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마커스 놀랜드 부소장은 남북교류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북한의 시장경제로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수단이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놀랜드 부소장은 목표는 북한이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국민들을 덜 탄압하고, 대외적으로는 덜 호전적인 체제로 바꾸도록 촉진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90년 독일 통일 당시 서독의 재무차관이었던 만프레드 카르스텐스 전 차관은 북한은 풍부한 지하자원이 있고 외국 기업들에겐 매력적인 투자처라며, 통일에 드는 비용만 이야기하는 것은 균형을 잃은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진행자) 타이완 정부가 자국민들에게 북한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군요?
기자)네, 타이완의 바네사 시 외무차관이 자국민들에게 북한 관광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시 차관은 최근 타이완 입법원 국방외교위원회에 출석해서 이 같이 말했는데요, 북한에 타이완 대표사무소가 없는 상황을 고려할 때 관광 목적으로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너무 큰 위험이 따른다는 것입니다. 시 차관은 또 유엔의 대북 제재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과의 공식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시 차관의 북한 여행 자제 권고는 타이완 집권 국민당 소속 의원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진행자) 끝으로 한 가지 소식 더 전해 주신다면요?
기자) 네, 국제 인권단체들이 북한의 심각한 인권 유린을 조사한 보고서와 증언들에 대해 국제사회가 검토해야 한다는 유엔 보고서를 적극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전세계 40여 개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 반인도범죄 철폐 국제연대’가 19일 마르주끼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 보고관의 보고서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유엔과 민간단체들이 여러 해 동안 조사한 북한의 인권 유린에 관한 신뢰있는 자료들에 대해 포괄적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는 보고서 내용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자) 한국 내 탈북자단체들이 오늘(22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20만 장을 살포할 계획이었는데요, 한국 정부의 저지로 무산됐습니다. 한국 경찰은 전단 살포를 불허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탈북자 단체들의 임진각 진입을 전면 통제했습니다. 탈북자단체 회원들은 집회 신고까지 마쳤는데도 정부가 이를 막는 것은 옳지 않다며 거세게 항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탈북자단체와 경찰 간에 가벼운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결국, 탈북자단체들은 임진각에서의 전단 살포가 무산된 뒤 강화도로 이동해 대북 전단 12만 장을 날려보냈습니다.
진행자) 한국 정부는 그 동안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적극적으로 저지하지 않았었는데요, 이번에는 다른 조치를 취했네요?
기자) 네, 북한의 위협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앞서 북한 군 서부전선사령부는 지난 19일 공개 통고문에서 전단 살포 움직임이 포착되는 즉시 무자비한 군사적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현재 북한 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말하면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 정부도 전단 살포를 둘러싼 남북한 간 긴장 상태를 주시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중국 정부는 “한반도에서의 무력 충돌은 물론 정세를 긴장시키는 어떤 행동에도 결연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홍레이 대변인은 오늘 (22일)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내 탈북자 단체들의 전단 살포 계획으로 남북한 당국 간에 긴장이 고조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변했는데요, “중국은 남북한이 협상으로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며, “냉정과 절제를 유지하고 과격한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지켜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계속해서 다음 소식 전해 주시죠?
기자) 네, 서울에서 오늘(22일) 한국과 미국 독일 등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저명한 북한학자들이 모인 가운데 ‘통일과 한국경제’라는 주제의 국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류우익 한국 통일부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제사회의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한반도 분단 유지가 자국에 이익이 된다는 주변국들의 생각은 바꿔야 할 낡은 사고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이번 국제토론회에서 주로 어떤 문제들이 논의됐는지 간단하게 소개해 주시죠?
기자) 발제자로 나선 미국의 브래드 뱁슨 존스홉킨스대학 북한경제포럼 의장은 한반도의 미래는 주변국이 아닌 남북한이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북한의 중국에 대한 의존이 지나치게 심해지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마커스 놀랜드 부소장은 남북교류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북한의 시장경제로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수단이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놀랜드 부소장은 목표는 북한이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국민들을 덜 탄압하고, 대외적으로는 덜 호전적인 체제로 바꾸도록 촉진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90년 독일 통일 당시 서독의 재무차관이었던 만프레드 카르스텐스 전 차관은 북한은 풍부한 지하자원이 있고 외국 기업들에겐 매력적인 투자처라며, 통일에 드는 비용만 이야기하는 것은 균형을 잃은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진행자) 타이완 정부가 자국민들에게 북한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군요?
기자)네, 타이완의 바네사 시 외무차관이 자국민들에게 북한 관광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시 차관은 최근 타이완 입법원 국방외교위원회에 출석해서 이 같이 말했는데요, 북한에 타이완 대표사무소가 없는 상황을 고려할 때 관광 목적으로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너무 큰 위험이 따른다는 것입니다. 시 차관은 또 유엔의 대북 제재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과의 공식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시 차관의 북한 여행 자제 권고는 타이완 집권 국민당 소속 의원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진행자) 끝으로 한 가지 소식 더 전해 주신다면요?
기자) 네, 국제 인권단체들이 북한의 심각한 인권 유린을 조사한 보고서와 증언들에 대해 국제사회가 검토해야 한다는 유엔 보고서를 적극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전세계 40여 개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 반인도범죄 철폐 국제연대’가 19일 마르주끼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 보고관의 보고서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유엔과 민간단체들이 여러 해 동안 조사한 북한의 인권 유린에 관한 신뢰있는 자료들에 대해 포괄적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는 보고서 내용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