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적 지원이 지난 해 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의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2011년 국제사회 대북 지원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대북 지원액은 4천5백50만 달러 ($45,480,346)에 달했습니다. 이는 지난 해 전체 대북 지원액 ($24,819,277) 보다 1백83% 늘어난 것으로, 이미 북한에 전달됐거나 상당히 구체화된 액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올해 들어 국제사회의 대북 식량 지원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입니다.
지난 해 전체 대북 식량 지원은 1천2백만 달러($11,732,821)에 그쳤지만, 올해는 지난 7월 말까지 3천3백만 달러 ($32,783,108)로 지난 해 보다 2천1백만 달러나 늘어났습니다.
식량 지원 분야의 주요 사업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여성과 어린이 영양 지원, 그리고 낙농제품 지원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보건 분야에 대한 지원이 6백만 달러($6,054,149)로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산모와 신생아 지원과 어린이 질병예방, 모성보호와 취약계층 건강 개선 등에 대한 지원이 주를 이뤘습니다.
이 밖에 농업 분야에 2백10만 달러, 지뢰 제거에 1백60만 달러 등이 지원됐습니다.
북한에 대한 국가별 지원 상황을 보면,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이 1천5백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유럽연합이 1천4백만 달러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밖에 스웨덴 7백40만 달러, 스위스 4백만 달러, 노르웨이 2백50만 달러 등을 기록했습니다.
미국은 지난 해 민간단체 머시 코어 (40만 달러)와 사마리탄스 퍼스 (20만 달러)를 통해 60만 달러를 지원했지만, 올해는 아직까지 지원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 통계에 따르면 지난 1999년부터 올해 8월 15일까지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은 18억2천6백만 달러 ($1,825,868,435)로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미국의 지원액은 2억5천만 달러($250,940,853)로 전체의 14%를 차지했습니다.
미국의 대북 지원은 98%인 2억4천5백만 달러가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 WFP를 통한 식량 지원이었고, 나머지 5백만 달러는 민간단체를 통한 의료 지원 등이었습니다.
연도별로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동안 약 2억 달러로 거의 대부분의 지원이 이 때 이뤄진 반면, 2005년과 2006년, 2008년과 2009년에는 대북 인도적 지원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의 지원액은 4억4백만 달러로 전체의 22%를 차지했고, 일본이 2억5천만 달러, 유럽집행위원회가 1억1천만 달러 등을 기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