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백신면역연합(Gavi. 가비)은 북한과 신종 코로나 대응에 관해 계속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아직까지 백신 접종을 시작하지 않은 전 세계 5개 나라에 포함됐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가비)은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지원과 관련해 북한과 계속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협의체를 주도하는 가비는 이날 북한에 코백스가 지원하는 백신이 제공됐는지 묻는 VOA에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가비 대변인은 “우리는 우리가 봉사하는 모든 국가들과 협력하는 것처럼 북한 당국과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대유행에 대한 대응을 돕기 위해 계속 협력하고 있다”면서 “현재 상황과 관련해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언론, 일반 대중들과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직 북한에 대한 백신 지원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말로 풀이됩니다.
앞서 코백스는 지난 3월 초 북한에 5월 이전에 코로나 백신 170만 회 접종분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코백스는 지난 3월 25일 북한에 백신 공급이 당초 계획보다 지연될 것이라고 통보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VOA에 밝힌 바 있습니다.
29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WHO의 194개 회원국 중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되지 않은 나라는 북한을 포함해 탄자니아, 아이티, 에리트레아, 부룬디 등 5개 나라에 불과합니다.
이와 관련해 WHO 대변인은 ‘AFP’ 통신에 “WHO는 코로나 백신의 도입에 관한 이들 나라들의 결정을 계속 지지할 것” 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은 올해 북한에 대한 긴급구호기금 배정 여부에 대한 VOA의 질의에 “북한은 세계의 다른 인도주의 우려 국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우리의 ‘주시 목록(watch list)’에 남아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유엔 국가팀의 인도주의 대응 노력을 지원하는데 계속 전념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여전히 ‘신속 대응 지원금(rapid response)’과 ‘자금 부족 긴급 지원금(underfunded emergencies)’을 받을 수 있는 대상으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속 대응 지원금은 전쟁이나 자연 재해 등으로 인해 긴급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 배정되고, 자금 부족 긴급 지원금은 국제사회의 지원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 긴급 투입하는 지원금을 말합니다.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은 지난해 북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관련 90만 달러와 자금 부족 긴급 지원금 500만 달러 등 총 590만 달러를 배정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북한에 긴급구호기금 명목으로 배정한 자금은 30일 현재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서 지난해 말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국(OCHA)는 2021년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국가와 지원 규모를 책정한 ‘글로벌 인도적 지원 개요 2021’(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21)을 발표하면서 북한 관련 계획은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OCHA는 당시 VOA에 북한 당국의 이동 제한 조치와 새로운 검증 자료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으로 북한 내 현장 평가가 이뤄지지 못했고 북한 내 인도주의적 상황도 감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유엔은 국제 지침에 따라 북한 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며 이동 제한 조치가 해제돼 유엔 국제기구 직원들이 북한으로 돌아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엔은 지난 3월 북한의 국경봉쇄와 엄격한 이동제한 조치 등으로 인해 현지 활동이 어려워 북한에 파견된 직원이 모두 철수했다고 확인한 바 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