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카터 전 미 대통령 호스피스 들어가...미 교통장관, 철도 안전대책 강화 촉구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자료사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자료사진)

생생한 미국 뉴스를 전해 드리는 ‘아메리카 나우’ 시간입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오래 투병 생활을 해온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의료 시설에서의 치료를 중단하고 남은 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오하이오주에서 화물 열차 탈선으로 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주무 장관이 열차 업계의 안전 대책 강화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어서,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한 도시가 노숙자들의 텐트 설치를 금지하기로 했다는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아메리카 나우, 첫 소식입니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의료시설에서의 치료를 중단한다고 밝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이 설립한 '카터센터'는 지난 18일 발표한 성명에서 카터 전 대통령이 병원 치료를 중단하고 자택에서 '호스피스 케어(hospice care)'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호스피스 케어란 암 환자 등 중증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줄이면서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 집중하는 것으로, 임종 간호 보살핌 서비스를 말합니다.

진행자) 쉽게 말해서 이제 마지막 순간을 준비하겠다는 거죠?

기자) 맞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이 나고 자란 조지아주에서 여생을 보내게 됩니다. 카터재단은 성명에서 카터 전 대통령은 그의 남은 시간을 집에서 그의 가족과 함께 보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카터 전 대통령은 그의 가족과 의료팀으로부터 전적인 지원을 받고 있고, 카터 전 대통령의 가족 측은 그를 응원해준 많은 분의 걱정에 감사하며 이 시기 사생활을 존중해 주길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카터 전 대통령이 고령이죠?

기자) 맞습니다. 1924년에 태어난 카터 전 대통령은 올해로 98세입니다. 역대 미국 대통령 가운데 가장 장수한 대통령이 바로 카터 전 대통령입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2015년 간암 발병 소식을 알렸는데요. 당시에 치료를 잘 받았다고 밝혔지만, 이후 피부암의 일종이 '흑색종'에 걸렸습니다. 그리고 암세포가 간과 뇌에 전이됐습니다.

진행자) 자택에서 호스피스 케어를 받을 것이라는 발표 후 각계에서 헌사가 이어졌다고 하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카터재단의 발표 하루 뒤인 지난 19일 트위터를 통해서 "어려운 시기에 보여준 강인함과 겸손함에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품위와 존엄 속에 남은 여정을 이어가길, 신이 평화를 주길 바란다"고 바이든 대통령은 덧붙였습니다. 목사 출신으로 조지아주를 대표하는 라파엘 워녹 연방 상원의원은 카터 전 대통령을 "위대한 믿음의 사람"이었다면서 "바르게 산 사람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주말 차를 타고 직접 조지아주 카터센터를 찾아 카터 전 대통령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카터 전 대통령의 정치 활동은 언제부터 시작됐죠?

기자) 1962년 고향인 조지아주에서 주 상원의원에 당선되면서 정치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71년, 조지아 주지사에 당선됐고요. 그로부터 5년 뒤인 1976년 대선에서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을 누르고39대 대통령으로 당선됐습니다.

진행자) 카터 전 대통령의 재임 당시 상황은 녹록지 않았죠?

기자) 맞습니다. 국내외적 과제가 산적해 있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요. 당시 미국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 둔화라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겪고 있었습니다. 또, 중동 국가들의 갈등으로 외교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많았습니다.

진행자) 카터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손에 꼽는 업적도 바로 이 외교 관계에서 나왔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 1978년에 맺은 '캠프데이비드 협정'이 대표적입니다. 이 협정은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에 맺은 협정인데요. 이 협상으로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독립 국가로 인정했는데, 바로 이 협정을 카터 전 대통령이 중재한 겁니다. 하지만, 이란 인질 사태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국 재선에는 성공하지 못했고 1981년 1월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를 마쳤습니다.

진행자) 카터 전 대통령의 대중적 공헌은 사실 대통령직을 마친 뒤에 더 컸다고 볼 수 있죠?

기자) 맞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퇴임 후 아내인 로잘린 카터 여사와 함께 카터센터를 설립해 세계 인권운동에 크게 기여하며 많은 사람에게 영향력을 끼치기도 했습니다. 지난 2002년에는 여러 국제분쟁을 중재하고 인권을 신장하는 데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북한과도 인연이 있는데요.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6월, 북핵 문제와 관련해 당시 한국 김영삼 대통령과 만나 면담하고 16일에는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도 만나 북핵 문제를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오하이오주 이스트 팔레타인 지역 열차 탈선 현장을 지난 6일 드론 촬영한 광경 (자료사진)
미국 오하이오주 이스트 팔레타인 지역 열차 탈선 현장을 지난 6일 드론 촬영한 광경 (자료사진)

진행자) 다음 소식입니다. 최근 오하이오주에서 있었던 화물 열차 관련한 소식이군요?

기자) 네, 피트 부티지지 교통부 장관은 최근 화물 열차 탈선 사고가 난 대형 철도회사에 서한을 보내 안전 대책 강화를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먼저 어떤 사고가 있었는지 살펴볼까요?

기자) 사고는 지난 3일에 발생했습니다. 미국의 대형 철도회사 '노퍽서던철도'가 운영하는 140량 이상의 장대 화물 열차가 오하이오주 동단의 이스트 팔레스타인 지역을 이동하던 중 탈선한 건데요. 당시 탈선 사고로 약 40량이 철도를 이탈했습니다. 탈선 사고로 큰 화재가 이어졌는데요. 당시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지역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진행자) 사고 자체보다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고 하죠?

기자) 맞습니다. 바로 유해 물질이 유출된 건데요. 교통안전위원회(TTSB)는 당시 20량에 유해 화학물질이 들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유해 물질을 운반하던 20량 가운데 절반이 넘는 11량이 탈선했다는 것이 교통안전위원회의 설명입니다. 여기에는 '염화비닐'과 '이소부틸렌'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염화비닐의 경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유해 물질이 벌써 토양과 시내에 흘러들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다만, 오하이오주 환경청은 지난 17일의 결과 자료를 공개하며 공공 식수에서 염화비닐 등 유해 물질이 탐지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다시 부티지지 장관의 서한 이야기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기자) 부티지지 장관은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노퍽서던철도'에 보낸 서한에서 대형 철도업체의 안전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부티지지 장관은 또 안전 규정을 위반한 업체를 대상으로 한 벌금을 상향할 것을 의회에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더해 조만간 철도 업체에서 즉각 수용해야 하는 구체적인 안전 개선책 개요를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부티지지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서한을 받은 업체의 입장은 나왔나요?

기자) 노퍽서던철도는 부티지지 장관으로부터 서한을 받았고, 이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는 100만 달러의 지역사회 지원 기금을 설립했고, 대피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1천100여 가구와 사업체에 170만 달러의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진행자) 사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부티지지 장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하죠?

진행자) 그렇습니다. 특히 부티지지 장관이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전임 트럼프 행정부에서 안전 규제를 완화했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한 건데요. 공화당 소속인 J. D. 밴스 상원의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리를 떠난 지 3년이나 지났다면서 이에 대한 비난을 멈추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역에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 연방 정부가 가진 권한을 사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민주당 소속인 셰러드 브라운 상원의원은 다시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통부와 관련 부처가 기존 규정을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사고에 대한 연방 정부의 대책이 너무 늦게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트렌트 코너웨이 이스트 팔레스타인 시장은 백악관에서 연락이 오기까지 2주가 걸렸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이번 사고와 관련해 의회에서도 청문회도 예정되어 있죠?

기자) 맞습니다. 상원의 환경공공사업위원회는 지난 17일, 이번 사고와 관련해 청문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부티지지 장관 외에도 상원 상무위원회의 마리아 캔트웰 위원장 역시 주요 철도 업체에 서한을 보냈는데요. 사고가 난 노퍽서던철도 외에도 버크셔 해서웨이의 벌링턴 노던산타페 등이 이번 서한을 받은 업체에 포함됐습니다. 캔트웰 위원장은 서한에서 "모든 철도 업체는 환경과 직원, 미국 가정을 더 보호하고 안전을 최우선 순위로 확인하기 위해 유해 물질 안전 규정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15일 미국 수도 워싱턴 D.C. 맥퍼슨스퀘어 공원의 노숙자 텐트가 철거되고 있다.
지난 15일 미국 수도 워싱턴 D.C. 맥퍼슨스퀘어 공원의 노숙자 텐트가 철거되고 있다.

진행자) 아메리카 나우, 마지막 소식은 캘리포니아주로 가 보겠습니다.

기자) 네, 캘리포니아주의 컬버시티 이야기입니다. 컬버시티 시 의회는 최근 공공장소에서 노숙자 텐트를 설치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례안을 통과시켰는데요. 최근 이를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댄 오브라이언 컬버시티 시 의원은 이번 결정 후 당국이 빨리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오브라이언 시 의원이 이렇게 주장하는 이유가 뭔가요?

기자) 같은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에 속한 LA시의 노숙자 관련 조치에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오브라이언 시 의원은 '로스앤젤레스타임스' 신문에 최근 LA시가 노숙자 관련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면서, 컬버시티가 서둘러 조처를 마련하지 않게 된다면 LA시에서 컬버시티로 노숙자들이 유입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LA시에서 어떤 노숙자 정책이 이뤄지고 있죠?

기자) 지난 중간선거를 통해서 캐런 배스 시장이 도시 역사상 첫 여성 시장에 취임했는데요. 배스 시장의 취임 후 첫 업무는 바로 도시의 노숙자 문제에 대한 비상사태 선포였습니다. 자신의 임기 첫해에 노숙자 약 1만7천 명을 임시 혹은 영구 시설에 수용한다는 것이 배스 시장의 계획입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컬버시티 시 의회의 이번 결정에 반대 의견이 있다고요?

기자) 시 의회 투표 시 반대표를 던진 야스민이마니 맥모린 부시장은 이번 결과에 매우 실망했다면서 이번 조치는 그저 처벌 수단을 더하는 매우 해로운 정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도시 노숙자 문제 자문위원회에 속해 있는 브라이언 ‘버바’ 피시 씨는 "빈곤에 처해 있고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을 계속해서 범죄화하는 것은 누구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지 못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진행자) 컬버시티의 계획은 뭐죠? 바로 철거 작업에 들어가는 건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시 당국이 노숙자들이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지정된 캠핑장을 열고, 또 73개 호텔과 모텔을 영구 및 임시 주택으로 바꾸는 등 일단 노숙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할 때까지 이를 집행하지는 않는다는 설명입니다.

진행자)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서도 얼마 전에 노숙자 텐트촌을 철거했다고 하죠?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국립공원관리국(NPS)은 지난 15일, D.C.의 맥퍼슨스퀘어 공원에 있는 수십 명의 노숙자들에 대해 퇴거를 단행했습니다. 이 가운데 떠나기를 거부하는 두 명의 노숙자는 결국 공원 경찰에 한때 체포됐다가 풀려났습니다.

진행자)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말 노숙자 관련 대책을 내 놓기도 했죠?

기자) 맞습니다. 지난해 말 '미국홈리스합동위원회(USICH∙ United States Interagency Council on Homelessness)'은 '올인(All In)'이라는 이름의 정책을 발표하면서 노숙자 수를 오는 2025년까지 25%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 현재 미국에는 약 58만2천 명의 노숙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요. 이 가운데 약 ¼인 17만 명이 캘리포니아에 있습니다.

진행자) 아메리카 나우,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