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We Kept our Fingers Crossed
A: Sorry I had to cut it short the other day.
B: No, that’s fine.
A: So tell me more about it!
B: At first, we were worried about the travel restrictions but we kept our fingers crossed and waited patiently.
A: Were there any other challenges?
B: Not reall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reated us hospitably.
A: Great! I should plan on visiting someday too!
A: 지난 번에 얘기 도중 말 끊어서 너무 미안해.
B: 아니야, 괜찮아.
A: 북한 여행에 대해 더 얘기 해죠.
B: 처음에는, 여행에 제한이 있을 까봐 걱정했어. 하지만 잘되기를 바라며 꾹 참고 기다렸지.
A: 또 다른 어려움은 없었니?
B: 아니 별로. 북한 정부가 우리를 꽤 잘 대해줬어.
A: 그랬구나! 나도 언젠가 꼭 한번 방문 해봐야겠다.
Vocabulary & Expressions
• Sorry I had to cut it short the other day: 지난 번에 얘기 도중 말 끊어서 미안했어. 여기서 ‘had to’ 는 ‘~해야 한다’는 뜻의 ‘have to’의 과거 형입니다. ‘~해야 했다’는 뜻이죠.
- The other day : ‘지난 번에’라는 뜻입니다. ‘지난 번에, 며칠 전에’에 의미인 ‘several days ago’와 비슷한 의미인데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The other day’는 ‘하루나 이틀 정도 전에’를 의미하고, ‘Several days ago’는 그 보다는 더 이전인 ‘이틀이나 한 10일 정도 전’에 를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The other day’가 ‘Several days ago’보다 더 최근 얼마 전을 말할 때 쓸 수 있다는 것 꼭 기억해 두세요.
• No, that’s fine. 아니야, 괜찮아. Sorry에 대한 대답으로 ‘괜찮다’고 말할 때 쓸 수 있는 또 다른 표현에는 ‘That’s all right’, ‘No, problem’, ‘Don’t worry about it’, ‘That’s okay’등이 있습니다.
• Tell me more about it: ‘좀 더 얘기 해줘’라는 뜻인데요, ~대해 더 알고 싶을 때 ‘Tell me more about it’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알고 싶은 대상을 about 다음에 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네 남자친구에 대해 더 얘기해줘’라고 말하고 싶으시면 ‘Tell me more about your boyfriend’하시면 되고요, ‘네 회사 상사에 대해 더 얘기해줘’ 하면 ‘Tell me more about your boss’하실 수 있습니다. 또 ‘more’ 을 빼고 ‘Tell me about it’해도 ‘Explain it to me’ 즉 더 얘기 해달라는 뜻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것은 ‘Tell me about it’에는 ‘네 말이 맞아, 그렇고 말고’ 즉 ‘I already know what you’re saying’, ‘I agree with you’, ‘I couldn’t agree with you more’의 의미가 있다는 것도 기억해 두세요.
• Restriction: 제약, 제한; ‘제한하다’는 뜻의 동사 Restrict의 명사형입니다.
• Keep one’s fingers crossed: 행운을 빌다. 두 번 째 손가락과 세 번 째 손가락을 교차 시키면서 I’ll keep my fingers crossed 라고 말하면 ‘행운을 빌게’ 라는 뜻으로 “Good luck”과 같은 의미라는 것도 꼭 기억해 두세요.
• Were there any other challenges? 또 다른 어려움은 없었니?
- Challenge는 ‘어려움, 도전’ 이라는 뜻의 명사이고요, ‘Challenging’은 ‘힘든, 어려운’이라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reated us hospitably. 북한 정부가 우리를 친절히 대해줬어. 여기서 hospitably 는 ‘친절하게, 관대하게’라는 뜻이고, ‘treat’는 ‘어떤 사람을 (특정한 태도로) 대하다’ 는 의미입니다. ‘Treat’ 뒤에는 여기서처럼 목적어 (us) + 부사 (hospitably) 가 나오기도 하고, 또 ‘with’, ‘as’, ‘like’ 같은 전치사가 나오기도 합니다.
▶Treat + 목적어 + 부사
ex) My teacher treated us kindly. 선생님께서 우리를 친절히 대해 주셨다.
ex) Why does my dad treat me differently than my brother? 왜 아빠는 나를 오빠와 다르게 대하는 거지?
▶Treat + 목적어 + 전치사
ex) My mom still treats me like a child: 어머니는 나를 여전히 아이처럼 대하신다.
ex) She treated me with kindness: 그녀는 나를 친절히 대해 줬다.
ex) She treats everything I say as some kind of joke: 그녀는 내가 말하는 모든 것은 농담으로 여긴다.
• Plan on + Ving : ~을 할 계획이다
ex) A: I’m planning on visiting Korea next year to see my new born niece.
나는 내년에 새로 태어날 조카를 보러 한국에 갈 계획이야.
B: That’s awesome.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