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유미정 기자, 미국 정부는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이 개인 자격으로 이뤄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 않습니까?
답) 네, 그렇습니다. 바락 오바마 행정부는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이 민간 차원의 인도적 구명을 위한 것이라며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은 미국 남부 조지아 대학교의 북한 전문가 박한식 교수가 중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교수는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카터 대통령에게 곰즈 씨 석방을 위해 북한에 특사로 갈 용의가 있는 지 의사를 타진했고, 카터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고, 이어 북한 측이 이를 수용하면서 방북이 성사됐다고 확인했습니다.
문)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는 말입니까?
답) 미 국무부의 공식 입장 발표만을 보면 그렇게 들리는데요, 하지만 미국 내 여러 소식통들은 지난 1월 이후 북한에 억류된 미국 시민 아이잘론 말리 곰즈 씨의 석방을 위해 미국의 특사 파견 여부와 방법 등을 두고 미 정부 내에서 수개월에 걸친 협의가 있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는 지난 25일자 기사에서 대북 전문가들과 전직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미 국무부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 관계자들이 곰즈 씨 석방을 위한 대북 특사 파견 협의에 대거 개입됐었다고 다고 밝혔습니다.
문) 미 정부에서 표면적으로는 확인을 거부하면서, 사실 오랫동안 특사 파견 논의를 진행해 온 것이라는 것이군요. 그러면 그 와중에 카터 전 대통령 이외에 특사로 거론된 다른 인물들이 있습니까?
답) 네,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주 주지사가 거론됐었습니다. 하원의원시절부터 미-북 문제에 활발하게 개입했던 리처드슨 주지사는 미국 내에서 알아주는 ‘북한 통’으로 꼽히는데요, 그는 지난 1994년 정보 수집 중 북한군에 격추된 미군 헬기의 조종사 보비 홀 준위와, 지난 1996년 압록강을 헤엄쳐 북한에 들어갔다 간첩죄로 억류됐던 미국인 에번 헌지커의 석방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냈던 인물입니다.
지난해 북한에 1백40일간 억류됐다 풀려난 여기자 로라 링씨의 신간에도 로라 링 씨의 언니 리사 링 씨가 동생의 석방을 위해 빌 리처드슨 주지사로부터 계속해서 조언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로라 링 씨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북해 석방됐습니다.
문) 최근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실은 존 케리 상원의원이 곰즈 씨의 석방 노력에 크게 개입됐었다고 밝히지 않았습니까?
답) 네, 그렇습니다. 케리 외교위원장도 곰즈 씨 석방을 위해 특사로 갈 용의가 있다는 의사를 국무부에 강력하게 피력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인터뷰에서 케리 의원이 곰즈 씨 석방을 위해 특사로 방북할 가능성이 있는 지에 관해 프레더릭 존스 상원 외교위원회 공보 담당 국장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존스 국장은 케리 위원장이 북한에 억류 중인 곰즈 씨 석방을 위해 어떤 방식으로든 도울 용의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적극적인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답변했는데요, 이는 북한의 요청이 있을 경우 그가 북한을 방문할 수 있음을 내비친 것입니다.
문) 케리 의원의 경우 곰즈 씨가 지역구 출신이라 이 문제에 더욱 관심이 컸을 것 같은데요?
답) 네 그렇습니다. 곰즈 씨는 케리 의원의 지역구인 매시추세스주 보스턴 출신입니다. 지난 1월 곰즈 씨가 불법 입국 혐의로 북한에 억류된 직후 곰즈 씨의 어머니인 재클린 매카시 씨가 케리 의원에 연락을 취해왔고, 케리 의원실은 미 국무부에 이 문제와 관련해 가장 먼저 접촉을 시도했습니다.
‘포린 폴리시’는 케리 의원이 오랫동안 북한 입국 비자를 발급받으려 했다며, 지난 해 로라 링과 유나 리 기자의 석방을 위해서도 북한에 갈 용의가 있었지만, 빌 클린턴 대통령이 특사로 결정되자 실망했었다고 전했습니다.
문) 그러면 미국 정부에서 리처드슨 주지사나 케리 의원이 아니라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을 허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 카터 전 대통령은 전직 인사이기 때문에 현 행정부와 연계가 약하다는 것입니다. ‘포린 폴리시’는 미국이 카터 대통령의 방북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할 수 있는 이른바 ‘Plausible Deniability’ 즉 ‘그럴듯한 사실 부인’을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아시아 전문가인 크리스 넬슨 씨도 최근 보고서에서 만일 미국이 현직 관리를 북한에 보낼 경우,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될 수 있다며, 케리 위원장이나 그 밖에 스티븐 보즈워즈 대북 특사 등이 곰즈 씨 석방을 위해 방북한다면 그것은 미국이 일종의 약속 (commitment)을 하는 것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포린 폴리시’는 리처드슨 주지사의 경우 곰즈 씨 문제와 관련해 북한과의 협의가 두 달 이상씩 진행돼, 북한 측에서 미국 정부의 공식 사과와 같은 곰즈 씨 석방에 따른 조건까지 제시했었다고 전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짐 존스 국가안보보좌관의 반대로 방북이 무산됐다고 밝혔습니다.
문) 북한측으로서도 카터 전 대통령을 더 선호했을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답) 그렇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카터 전 대통령이 북한에서 더 원하는 인물일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1차 북 핵 위기 당시 북한의 김일성주석을 만나 미-북 관계 진전에 대한 대가로 비핵화 약속을 하면서 대결국면을 협상국면으로 전환한 주역입니다. 북한으로서는 주지사나 의원급보다는 전직 국가 원수를 협상 상대로 더 높게 평가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문) 또 북한에 특사 파견 결정까지 미-북간의 의사소통 창구로 뉴욕채널이 활용됐었다지요?
답) 네, 정식 외교채널이 없는 두 나라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해서 미 관리들이 북한의 유엔 대표단과 면담 또는 대화, 연락하는 창구인 이른바 ‘뉴욕 채널’이 가동됐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실이나 리처드슨 주지사실 그리고 케리 위원장실 모두 백악관 뿐만 아니라 독자적으로 ‘뉴욕 채널’을 통해 연락을 주고 받았다고 ‘포린 폴리시’는 전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 시민 아이잘론 말리 곰즈 씨의 석방을 위해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 중입니다. 그런데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 결정은 수 개월에 걸친 미 정부 내 협의 후에 이뤄진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유미정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