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현재 3단계 추진 우주발사체(Space Launch Vehicle) 발사를 준비 중이며, 제대로 작동할 경우 대륙간탄도미사일 (ICMB)과 마찬가지로 알래스카와 하와이 뿐 아니라 미국 본토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데니스 블레어 미 국가정보국장이 밝혔습니다. 블레어 국장은 또 북한이 그들의 주장대로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는데요, 어제 열린 미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를 취재한 유미정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유미정 기자, 먼저 어제 열린 청문회가 어떤 청문회였는지 소개해 주시죠.
기자: 네, 어제 청문회는 미국이 전세계적으로 직면해 있는 안보 위협에 관한 평가를 미국의 정보 책임자들을 통해 듣는 자리였는데요, 증인으로는 중앙정보국 (CIA)을 비롯해 16개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미 국가정보국(DNI)의 데니스 블레어 국장과 마이클 메이플스 국방정보국장이 참석했습니다.
청문회에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도 미국에 대한 중요한 위협으로 논의가 됐는데요, 먼저 칼 레빈 상원 군사위원장의 기조 연설을 들어보시죠.
레빈 위원장은 북한은 지난 해 12월 6자회담에서 제안된 핵 검증체계를 거부한 이래 많은 호전적인 위협을 가해왔고, 장거리 탄도미사일의 성능을 보여 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진형자: 레빈 위원장이 북한의 미사일 문제를 언급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얘기들이 오갔습니까?
기자: 네, 의원들은 먼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위협에 대한 정보 당국의 평가에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민주당 소속 에반 베이 인디애나 주 상원의원의 질의 내용 들어보시죠.
베이 의원은 북한이 준비 중이라고 주장하는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한다면, 그로 인해 북한의 미사일이 알래스카 등 미국의 본토를 강타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해 어떤 판단을 유추할 수 있는 지 물었습니다. 베이 의원의 질문에 대한 블레어 국장의 말을 들어보시죠.
블레어 국장은 북한이 발사를 준비하고 있는 우주발사체(Space Launch Vehicle)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MB)과 거의 같은 것이라며, 제대로 작동할 경우 미국의 알래스카와 하와이 뿐만 아니라 미국 본토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블레어 국장은 이어 북한이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럴 것으로 판단되느냐는 베이 의원의 질문에 본인이 틀릴 수도 있다는 전제 하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우주발사체 상단에 실리는 운반체가 북한의 인공위성인지 탄두를 실은 미사일인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북한이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그럴 개연성도 있다는 취지의 답변입니다.
진행자: 그밖에 북한의 미사일 위협과 관련해 어떤 논의가 있었습니까?
기자: 네, 북한의 미사일 개발 능력에 대한 미국 정보 당국의 평가 능력에 관한 질문도 나왔는데요. 공화당 제임스 인호훼 오클라호마 주 상원의원의 질의 내용 들어보시죠.
인호훼 의원은 지난 1998년 8월 24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체 개발 능력을 평가하는 청문회에서 북한이 다단계 미사일을 개발하기 까지는 8~10년이 소요될 것이라는 답변을 들었지만, 7일 만인 8월 31일 북한이 대포동 1호를 쏘아올렸던 사실을 상기하며, 현재 미 정보당국의 북한의 위협에 대한 평가가 정확한 지를 질문했습니다. 이에 대한 블레어 국장의 답변을 들어보시죠.
블레어 국장은 미국은 과거 경험으로 북한이 다른 나라들과 달리 미사일 시스템을 시험하지 않고 곧바로 생산에 들어간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북한의 미사일 개발 능력을 평가하는 데 시간이 훨씬 덜 걸린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북한의 미사일 외에 핵무기 위협에 관한 평가는 어떻게 이뤄졌습니까?
기자: 네 역시 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한 마이클 메이플스 국방정보국장은 북한은 영변에서 생산한 플루토늄으로 만든 핵무기를 여러 개 보유하고(stockpile)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이플스 국장은 북한은 또 과거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추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중동 등 여러 나라들에 핵 관련 기술을 확산해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미사일 문제와 관련해 북한은 탄도미사일에 성공적으로 장착되는 핵탄두를 개발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