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전직 미 관리 '북한 시험 위해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테러지원국 연계'


미국은 북한이 인권에 대한 기본적인 국제협약을 준수할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테러지원국 재지정 이유로 포함시켰다고 미국 정부의 전직 고위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이같은 발언은 북한의 핵 신고와 그에 따른 미국의 대북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문제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유미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조지 부시 대통령 집권 1기 시절 국무부 부장관을 지낸 리처드 아미티지 씨가 최근 한 강연에서, 자신이 재임 시절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 이유로 포함시켰다고 말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워싱턴 소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 자료에 따르면 아미티지 전 부장관은 지난 3월28일 이 연구소 산하 `태평양 포럼' 주최로 열린 한 강연에서, 자신과 제임스 켈리 당시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북한의 의도를 ‘시험하기 위해' 관련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아미티지 전 부장관은 강연에서 자신의 결정은 " 일본에서 납북자 문제에 큰 정치적 관심이 쏠려 있었고, 더 나아가 북한을 시험하기 위한 뛰어난 방법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아미티지 전 부장관은 특히 "아무도 북한이 모든 일본인 납북자들이 생존해 있다고 말하기를 기대하지는 않았지만, 북한이 일부 진실된 답변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고 말했습니다.

아미티지 전 부장관은 따라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과 연계한 것은 북한을 인권에 대한 기본적인 조약을 준수할 나라로 기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험’이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1988년부터 대한항공 858기 폭파 사건과 일본 적군파 요원 보호 등을 이유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해왔습니다.

미국은 이후 부시 행정부 시절인 지난 2003년,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 이유로 추가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유미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