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 6자회담의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다음 주 중국과 러시아를 방문한다고 미국 국무부가 23일 공식 발표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힐 차관보와 6자회담 북한 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의 베이징 회동 일정이 잡혀있지 않다면서도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습니다. 유미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6자회담의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다음 주 중국과 러시아를 잇따라 방문합니다.
미국 국무부의 톰 베이시 부대변인은 23일 힐 차관보가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베이징에 이어 29일부터 31일까지 모스크바를 각각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힐 차관보는 중국과 러시아 방문 중 상대측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만나 이번 주 초에 있었던 미국과 한국, 일본 3국 수석대표의 워싱턴 회담 결과를 설명할 것이라고 케이시 부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이어 힐 차관보가 베이징 방문 중 6자회담의 북한 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만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아직 일정이 잡혀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케이시 대변인은 미국과 북한의 양자회동 일정이 정해진 것은 없다며, 그러나 북한은 힐 차관보의 베이징 방문에 대해 알고 있는 만큼 관심이 있거나 회담을 바란다면 두 수석대표가 일정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로이터 통신’ 등 외신들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힐 차관보가 베이징에서 김계관 외상과 만나 핵 신고 등 핵심 현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현재 전문가들이 북한으로부터 넘겨받은 1만9천 쪽의 핵 관련 문서들에 대한 검증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한이 제출한 문서들이 진본이 아니라는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북 핵 6자회담의 한국 측 수석대표인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3일 한국의 한 언론과 가진 회견에서, 북한의 핵 신고 이후 있게 될 비핵화 3단계는 이전에 비해 “더 길고 어려운 협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핵무기를 놓겠다,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포기하겠다 하는 것은 북한이 정치적 결단에 의해서 여러 나라들과 아주 어려운 협상을 거쳐서 오게 될 최종 결과물이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 더 길고 어려운 협상이 될 것이다 이렇게들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김 본부장은 또 “핵 폐기의 마지막 단계에 가면 핵무기와 핵 물질을 해외로 반출하던지, 북한 내에 어떠한 핵 프로그램과 핵무기도 남아있지 않게 되는 상황을 말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궁극적으로 핵이 없는 상태를 목표로 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유미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