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국 대북 식량 지원 다음 달 재개


미국은 다음 달부터 시작해 앞으로 1년 간 북한에 50만t의 식량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미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 USAID가 발표했습니다. USAID는 오늘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은 심각한 식량 부족에 직면해 있다고 미국에 설명했으며, 미-북 양국은 배분 식량의 모니터링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유미정 기자가 좀더 자세한 소식 전해드립니다.

미국 정부가 북한에 대한 대규모 식량 지원 재개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션 맥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다음 달부터 시작해 1년 간 북한에 50만t의 식량을 지원한다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지난 5~6개월 간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의 전문가들과 북한 당국 사이에 배분 식량에 대한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모니터링 방법상의 개선점에 대해 협의가 있어 왔다며, 개선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이에 따라 다음 달부터 시작해 앞으로 1년 간 북한에 50만t의 식량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맥코맥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이로써 지난 2005년 중단됐던 북한에 대한 미국 정부의 식량 지원이 3년 만에 재개되게 됐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북한의 지원 거부와 지원 배분되는 식량에 대한 모니터링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 점 등을 이유로 식량 지원을 중단했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이날 대북 식량 지원 재개를 발표하면서 모니터링 문제와 관련한 북한 측과의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앞서 국제개발처 USAID는 16일 공식 성명에서 대북 식량 지원을 발표하면서, 북한은 미국에 심각한 식량 공급 부족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고, 미-북 양국은 지원 식량이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USAID는 미국 정부의 식량 지원은 세계식량계획 WFP와 미국의 비정부기구들을 통해 각각 40만t과 10만t씩 50만t으로 이뤄지며, 이 중 첫 선적분은 북한 식량난의 심각성을 감안해 다음 달 중 북한에 전달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식량 지원과 관련한 구체적인 이행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조만간 평양에서 실무회의가 열릴 예정입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세계식량계획의 식량 구입을 담당하게 될 ‘빌 에머슨 트러스트’와 세계식량계획 담당자들이 조만간 지원을 받게될 북한 내 지역을 방문하며, 이어 USAID 주도로 미국 정부의 다른 부처 관계자들이 참가하는 실무회의가 평양에서 열려 구체적인 지원 방법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맥코맥 대변인은 미국 정부의 이번 식량 지원 재개 결정이 최근 이뤄진 북 핵 협상의 진전과 연계된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변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미국의 식량 지원 재개 결정은 미국이 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철저한 모니터링 방법이 도출됐기 때문이라며, 인도적 식량 지원과 핵 문제는 관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이어 북한에 대한 이번 식량 지원이 1년 이상 계속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이 기간 동안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뤄지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것이며, 이를 토대로 1년 이후에도 식량 지원이 계속될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유미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