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30일 발표한 `2007 국가별 테러보고서'에서 북한을 이란, 시리아, 수단, 쿠바와 함께 또다시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습니다. 국무부는 북한이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해제되려면 어떤 테러활동에도 간여하지 않겠다는 상세한 확인을 미국에 해야 하지만, 북한으로부터 아직 그같은 확인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보고서는 그러나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병행해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기로 한 2.13 합의를 이행할 의사가 있음을 거듭 확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유미정 기자가 좀더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는 30일 발표한 ‘2007 국가별 연례 테러보고서 (Country Reports on Terrorism)’ 에서 북한을 여전히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과 관련, 지난 1987년 대한항공 폭파사건 이후 어떤 테러활동도 지원한 사실이 알려진 바가 없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는 북한이 지난 1970년 일본 민항기 납치 사건과 관련된 일본 적군파 요원 4명을 여전히 보호하고 있고, 일본 정부가 북한으로 납치된 12명의 일본인들에 대한 충분한 해명을 계속 요구하고 있는 사실을 명시했습니다.
보고서는 특히 지난 해와는 달리 미국이 북 핵 6자회담 합의의 일환으로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 국내법에 따라 북한의 테러지정국 해제과 관련한 의무사항을 이행할 것임을 재확인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러나 델 데일리 국무부 대테러 조정관은 이날 보고서 발표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충족돼야 할 조건들이 여럿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데일리 조정관은 먼저 미국의 대통령이 의회에 그같은 결정을 통보해야 하며, 북한이 명단에서 삭제되기 6개월 이전에 국제 테러행위에 연루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확인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데일리 조정관은 특히 북한은 어떤 테러활동에도 간여하지 않겠다는 상세한 확인을 미국에 해야 하지만, 미국은 북한으로부터 아직까지 그같은 확인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데일리 조정관은 최근 북한과 시리아와의 핵 협력에 대한 증거가 공개된 것과 관련, 미국은 그같은 정보가 사실인지를 정보 분석가들을 통해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데일리 조정관은 이날 발표에서 북한 외에 이란, 시리아, 수단, 쿠바 등이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됐다고 말했습니다.
데일리 조정관은 테러지원국과 관련한 미국의 가장 큰 우려는 테러지원국들이 테러분자들에게 직접 대량살상무기나 관련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데일리 조정관은 이런 점에서 이란은 가장 심각한 테러지원국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란은 미국 정부가 테러단체로 지정한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인 하마스, 레바논의 헤즈볼라, 이라크 내 무장단체,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내 탈레반 무장세력들에 무기와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고 데일리 조정관은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