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힐-김계관, 미-북 수석대표 회동 긍정 평가


미국과 북한의 6자회담 수석대표가 싱가포르에서 북한의 핵 신고 문제를 둘러싼 양측의 견해차를 해소하기 위한 협상을 끝마쳤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회담 내용은 공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는 이번 회담에서 지난 달에 열렸던 제네바 합의 때보다 더 큰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도 회담 직후 미국과의 의견차를 많이 좁혔다며, 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유미정 기자가 좀 더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지난 3개월 이상 6자회담의 진전을 가로막아 왔던 북한의 핵 신고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국과 북한 측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이 한국 시간으로 8일 오후 7시께 종료됐습니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회동이 끝난 직후 숙소인 리젠트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이번 회담에서 “북한 측과 좋은 협의를 했다”며 “지난 달 제네바 회동 때보다 더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이어 이번 협의가 “얼마나 좋은 협의인지는 곧 알게 될 것”이라며 “오늘 나눈 얘기에 대해 본국의 훈령을 받기로 했고, 일이 잘 되면 베이징에서 더 많은 것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6자회담의 북한 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도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힐 차관보와의 이번 회담을 통해 미-북 간에 의견이 상이한 부분을 많이 좁혔다"면서 "회담이 잘 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부상은 싱가포르주재 북한대사관저 앞에서 가진 회견에서 “미국과 북한 사이에 6자회담 현안을 풀기 위한 협의를 진지하게 했다"면서 "앞으로 합의에 따라서 필요한 사업들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김 부상은 `핵 신고 방안에 합의했느냐'는 질문에는 "모든 전반적인 문제를 논의했다"면서 "좀 더 시간을 갖고, 인내심을 갖고 생각해 달라"고 대답해 여운을 남겼습니다.

힐 차관보와 김계관 부상은 이날 싱가포르주재 미국대사관에서 오전에 1시간30분과 오후에 3시간 등 모두 4시간30분에 걸쳐 북한의 핵 신고 문제를 집중 협의했습니다.

이번 미-북 양자 회동은 그동안 핵 신고의 최대 쟁점이 돼 온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과 시리아와의 핵 협력 의혹 등에 대해 양측이 최종 입장을 조율함으로써 3개월 이상 교착상태에 있는 북 핵 6자회담에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지 여부에 큰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북한은 지난 6자회담 10.3합의에 따라 지난 해 말까지 핵 신고를 끝마치기로 약속했지만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과 시리아와의 핵 협력 의혹 등에 대한 미국 측과의 이견으로 아직까지 핵 신고를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지금까지 우라늄 농축 계획의 존재 자체와 다른 나라와의 핵 협력을 완강히 부인해왔습니다.

외교 전문가들은 미-북 양측이 이번 양자회동에 앞서 ‘분리신고’와 북한의 ‘간접시인’ 방식을 통해 핵 신고 문제를 해결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분석한 바 있습니다.

이 방법은 북한이 이미 신고 의사를 밝힌 플루토늄만을 정식 신고서에 담아 의장국인 중국에 제출하고, 우라늄 농축과 핵 협력 의혹 등은 ‘간접시인’ 방식으로 양측만 공유하는 비공개 양해각서를 통해 신고한다는 것입니다.

한편 미-북 수석대표들이 이번 회담 결과에 긍적적으로 평가를 내놓음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양측이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UEP)과 시리아와의 핵 협력 의혹 등 쟁점에 대한 신고 방안에 합의를 이룬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양자 회동에서 핵 신고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합의가 도출될 경우 북한 비핵화 2단계 이행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그 동안 공전됐던 6자회담도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러시아를 제외한 북 핵 6자회담 5개국 대표단은 9일 중국 베이징에 모여 미-북 양자회담의 결과를 청취할 예정입니다.

장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을 만나 양자회동 결과를 설명하고 6자회담의 당면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대표단이 와서 관련 결과를 청취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김계관 부상도 9일 오전 힐 차관보와 같은 항공편으로 베이징에 도착할 예정이지만 다른 6자회담 대표단과의 회동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한편 남북한과 중국은 10일 베이징에서 6자회담 차원의 대북 경제, 에너지 지원과 관련, 3자 협의 2단계 회의를 열고 북한에 대한 에너지 관련 설비와 자재 3차분 지원 방안을 논의합니다.

미국의 소리, 유미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