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심층취재] “심각한 북한 전력난…대외관계 개선이 관건”


지난 2013년 7월 불 꺼진 평양의 밤 거리에 김정일 김일성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자료사진)
지난 2013년 7월 불 꺼진 평양의 밤 거리에 김정일 김일성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자료사진)

북한이 경제 강국 건설을 위해 전력문제 해결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북한이 자체적으로 전력난을 해결하기 어렵다며 대외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 전력난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을 김현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최근 경제 강국 건설을 위해 전력문제 해결이 절박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5월 당 간부들에게 “전력 사정이 절박해 생산에 큰 지장을 불러오고 인민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고 연설했다는 겁니다.

김정은 정권 들어 전력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추진했지만, 이례적으로 실패를 인정한 셈입니다.

북한의 전력난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닙니다.

지난 2001년 북한주재 영국 대리대사를 맡아 평양대사관 개설을 주도했던 제임스 호어 박사는 6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당시 평양도 극심한 전력난을 겪었다고 회고했습니다.

[녹취: 호어 박사] “Electricity was in quite short supply even in Pyongyang. That was major shortages in most part of cities regularly…”

북한 대부분 도시가 정기적으로 전력 부족을 겪었고, 가로등 조차 없었다는 겁니다.

또 매일 밤 도시 여러 곳에서 정전 사태가 이어졌고, 지하철이나 버스도 운행을 멈췄으며, 아파트 전체가 암흑 같았다고 호어 박사는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은 최근까지도 이어졌습니다.

지난 2013년부터 지난 9월까지 4년 동안 평양에서 근무한 토마스 피슬러 전 스위스국제개발협렵처 평양사무소장은 지난 2014년에서 2015년 경험한 북한의 전력난은 악몽 같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피슬러 전 SDC 평양사무소장] “I remember 2014, 2015, it was a nightmare, [the power would go out] it was like 20 times making up one third of eight hours a day--no power. "Yes, it would be every 30 minutes, one hour there would be a power cut for 30 minutes to one hour.”

평양주재 외국대사관에서조차 30분이나 1시간에 한 번씩 정전이 됐고, 정전은 최소 30분에서 1시간 가량 지속됐다는 설명입니다.

지난 2012년부터 평양과기대에서 치과 수업을 진행해온 익명의 교수도 ‘VOA’에 병원에서 치과 시술 도중 전기가 끊긴 뒤 30분 넘게 복구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은 적이 많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전력 상황이 처음부터 열악했던 것은 아닙니다.

일제시대 지어진 북한 지역 발전소들은 1940년대 한반도 전체 전력의 85%를 생산했습니다.

2014년 북한 에너지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미 서부 캘리포니아 민간단체 노틸러스연구소의 피터 헤이즈 소장은 1970년대 중반까지 북한 전력 상황은 남한과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피터 헤이즈 소장] “In the North they raced with Soviet and Chinese backing at different times to build large scale Coal-fired power plants and hydroelectric plants up until mid-1970s. Their grid would be on a par South Korea ….”

구소련과 중국의 도움으로 대규모 화력발전소와 수력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했었다는 겁니다.

1945년 해방 당시만 해도 전력이 풍부하던 북한이 이처럼 심각한 전력난에 직면하게 된 것은 1980년대부터였습니다.

구소련의 붕괴와 이로 인해 악화된 경제난으로 새로운 발전소 건설이 중단됐고, 기존의 발전소도 개보수가 어려워지면서 제대로 가동할 수 없었습니다.

헤이즈 소장은 현재 북한의 전력 시설은 1980년대 후반 구축된 것으로 매우 낙후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피터 헤이즈 소장] “much is not available, either generators don’t work Transmission system doesn't work, because distribution system doesn’t work, NGS equipment is so….”

북한 발전소들의 발전기와 송전선, 배전시설 등 관련 설비들의 노후화와 고장이 심각한 상태여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설명입니다.

헤이즈 소장은 또 북한 전력망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며, 노후화 등으로 주파수와 전압이 불안정해 고장이 잦고 손실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로 인해 현재 북한 발전소의 생산 능력은 전체 가능한 생산 능력의 최대 10~20%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북한 대도시에서도 주기적으로 전력 공급이 끊기고, 장기간 정전이 지속되고 있다고 헤이즈 소장은 지적했습니다.

오랫동안 북한의 에너지 분야를 연구해 온 노틸러스연구소의 데이비드 폰 히펠 연구원도 “북한이 원래 전국적으로 통합된 전력망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지역마다 단절돼 도시나 발전소 인근 이외의 지역은 전기를 공급받기 쉽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헤이즈 소장은 다만 최근 들어 북한이 전력 상황 개선을 위해 소규모 수력발전소나 풍력발전소를 건설하거나 태양 전지판 설치 등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유엔 제재 등으로 석탄 수출 길이 막혀 남아도는 석탄을 전력 공급에 사용해 북한 일부 지역에선 전력이 다소 개선됐을 수도 있다고 헤이즈 소장은 지적했습니다.

[녹취: 피터 헤이즈 소장] “There is some evidence slight improvement in recent years with building a new smaller hydroelectric dams and also some wind turbines, but these are very small fractions…. ”

하지만 이는 여전히 미미한 수준으로 주민들의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설명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 주민들은 다양한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평양에서 근무한 피슬러 전 스위스국제개발협렵처 평양사무소장은 평양 주민들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태양 전지판을 통해 전력 부족에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피슬러 전 SDC 평양사무소장] “Many now in PY even outside have solar panel and truck battery…”

태양 전지판으로 충전한 전기를 자동차 축전지에 저장해 TV나 냉장고 등 전자제품 가동에 이용하고, 낮은 전압에도 밝은 빛을 내는 발광소자 (LED) 전구를 많이 사용한다는 설명입니다.

헤이즈 소장은 단기적으로는 풍력 발전용 터빈이나 LED 라이트,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통해 전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며 장기적으로는 북한이 새로운 전력망과 시설 등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헤이즈 소장] “Most of it is junk. You put a bulldozer through most of it. The stuff that is most likely to be useful in the future would be hydroelectric dams. Even then, the generators are worn out, most of the part and need to be replaced…”

북한 대부분 발전소는 폐물이나 마찬가지이고, 그나마 계속 쓸 수 있는 것은 일부 수력발전소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이마저도 발전기들이 낡아 대부분은 교체해야 할 것이라고 헤이즈 소장은 지적했습니다.

헤이즈 소장은 그러나 북한 자체적으로 발전소를 새로 짓거나 송전망을 개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대외관계 개선을 통한 자본과 기술 도입이 관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헤이즈 소장] “If North Koreans are proved to be more cooperative, then yes, we could envision some long term strategies that would benefit the six parties and the North Koreans. This could be done by connecting currently disconnected networks of gas pipelines, power grids, means of transport and information flow…”

더 나아가 북한이 보다 협조적으로 나온다면, 현재 단절된 중국, 러시아, 한국, 일본 등과의 가스관이나 전력망 등을 연결하는 장기적 전략도 고려해볼 만 하다고 제안했습니다.

동북아시아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교수는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이용한 만큼의 적당한 전기 사용료를 내게 함으로써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브라운 교수] “My point is if government just charge for electricity, it could solve the electricity problem very quickly…”

주민들이 낸 전기 요금으로 정부는 전력 시설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고, 주민들은 전기 요금을 많이 내지 않기 위해 더 효율적으로 전기를 이용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브라운 교수는 북한 정부가 각 가정에 전기 계량기를 설치해 전기요금을 내게 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다며, 이는 중요한 변화라고 말했습니다.

데이비드 슬린 북한주재 초대 영국대사 역시 북한 당국이 정책 우선 순위를 바꿈으로써 전력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슬린 전 대사] “Use money that putting into nuclear weapon development and put into infrastructure to help the standard of living and well-being of people…”

슬린 대사는 북한이 핵 개발에 투입하는 돈을 전력시설 구축 등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현진입니다.

XS
SM
MD
LG